▲ 사진 출처=픽사베이

[미디어파인 칼럼=김권제의 생활어원 및 상식] 시골은 도시 이외의 지역으로 특히 서울을 기준으로 할 때 서울 이외의 지역을 일컫는 말이다. 또한 현대적 개념의 도시개발이 덜 진행되고 자연과 인접한 지역이다 보니 주로 농업 같은 1차 산업이 주인 농촌, 어촌, 산촌 등이 시골로 불린다.

우리의 고정관념 속의 시골의 모습은 넓은 들과 맑은 물이 흐르는 하천 그리고 산으로 둘러쌓여 있으며 마당에는 닭이나 개가 노는 이미지이다. 시골은 정서적으로도 정겨움으로 다가오는 단어다 보니 흔히 고향을 일컬을 때도 시골이라 한다.

도시 사람들이 볼 때 시골은 답답하고 생활이 불편할 것 같지만 문화예술을 누릴 수 있는 사회적 시설이 부족할 뿐이고 왠만한 사회 시설은 도시못지 않게 구비되어 있다. 자연 속에서 안빈낙도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도시보다는 시골이 훨씬 정겹고 여유롭게 살 수 있는 곳이다. 노년층들이 꿈꾸는 전원생활도 시골을 기반으로 생활을 하는 것이다. 안타까운 점은 젊은이들이 도시를 동경하여 떠나다 보니 시골에는 대부분 노년층들만이 있다는 점이다. 그렇지 않은 시골도 물론 존재한다.

▲ 사진 출처=픽사베이

자연적으로도 건강하고 포근하며 사람의 인심이 넉넉하게 느껴지는 ‘시골(country)’은 어디에서 유래된 말일까?

‘country’는 ‘contra(반대의)’에서 파생된 통속 라틴어 ‘(terra) contrata<(땅)마주 누운, (땅) 앞에 펼쳐진)>’가 어원이다. 이 단어가 고대 프랑스어로 유입되어서 ‘contree’로 변형되었고 중세 영어의 ‘contree/ contre’가 되어서 최종 ‘country’로 정착을 하였다.

[김권제 칼럼니스트]
고려대학교 영어교육학과 졸업
미디어파인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