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픽사베이

[미디어파인 칼럼=박수룡 원장의 부부가족이야기] 앞에서 말한 외도의 유형으로 배우자의 개인적인 특성을 어느 정도 파악했으면, 이제는 외도의 이유를 당신들의 관계에서 찾아보기로 하자.

‘하인리히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심각한 사고나 재난은 그것이 일어나기 전에 여러 번의 경고성 징후를 보여준다는 말이다. 이를 외도에 적용해보면, 외도가 일어나기 전에 부부 관계에서 이미 여러 번의 위험 신호가 있었을 거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런 점에서 단순히 외도 행위를 끊는 것만으로 그 문제가 해결되리라는 생각은 큰 착각이다. 또한 외도 배우자의 잘못이 큰 것은 분명하지만,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상처 배우자인 당신이 나누어야 할 책임도 일정 부분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 말에 대해서 “나에게 책임이 있다니, 말도 안 되는 소리다”라고 항의할 상처 배우자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하려는 말은 당신들 두 사람의 잘잘못을 가리려는 것이 아니다. 문제의 뿌리를 찾아서 그것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방법을 찾기 위한 것이다.

거듭 말하지만, 외도 문제의 해결이 부부 관계의 회복일 지 이혼으로 끝날 지는 아무도 모른다. 다음 내용을 통해서 당신이 어떤 해결 방법을 선택할 것인지 더 잘 알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① 부부 간의 분리:

가정 생활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부부에게 주어지는 역할과 책임이 있다. 집안 일과 바깥 일, 가정 경제나 자녀 양육 등 중요 사항에 대한 결정과 집행, 가족 내 규칙의 수립과 정서적 돌봄 같은 것들이다. 이렇게 많은 일들은 남편과 아내가 나누어 맡는 것이 효율적이다. 하지만 이런 구분이 너무 고착되면 부부가 각자의 기능에만 집중하게 되어 문제를 불러올 수 있다. 서로 공유할 수 있는 것들이 갈수록 축소되면서 결국 분리 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즉 함께 이야기할 내용이 건조해지고 여가 시간도 각자 보내게 된다. 이런 상태가 길어지면 배우자에게 충족 받지 못하는 욕구를 가정 밖에서 찾으려고 외도에 빠질 수 있다.

② 의사소통의 장애:

▲ 사진 출처=픽사베이

흔히들 성격이 맞지 않아서 부부 사이가 나빠지는 것처럼 알고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성격이 비슷한 부부가 더 격렬하게 싸우기도 하고 다른 성격을 가진 부부가 도움을 주고받으며 사이 좋게 살아가기도 한다. 중요한 것은 의사소통이다. 의견이 다르고 불만이 있어도 충분한 대화를 통하여 타협점을 찾을 수 있으면 사이가 나빠지지 않는다.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기술도 있어야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태도다. 배우자에게서 “말로는 내가 도저히 이길 수가 없다”는 불평을 듣는 사람은 말싸움에서는 이기겠지만 부부 간 의사소통뿐 아니라 애정에 있어서도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③ 심리적 미성숙:

인격의 성숙에는 자신의 감정 조절 능력과 함께 상대에 대한 공감 능력이 포함된다. 이런 능력이 충분히 발달되지 못한 사람은 짜증이 많고 화를 쉽게 가라앉히지 못하며 상대에 대한 이해와 융통성을 발휘하지 못한다. 또 자신의 배우자가 미성숙하다고 탓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렇게 말할 만하니까 그러는 것이겠지만, 자신은 어떤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 가족치료의 개척자인 M. Bowen은 “사람은 자기 수준에 맞는 배우자를 고르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배우자의 미성숙을 탓하기만 할 것이 아니라, 함께 인격적으로 성숙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못한 부부들은 외도라는 행동화(acting out)를 겪게 될 가능성이 높다.

④ 결혼에 대한 숨은 기대:

사랑은 두 사람이 좋아서 하는 것이지만 결혼은 서로 필요해서 하는 것이다. 그 필요는 현실적인 것도 있지만, 정서적인 것들도 많다. 특히 문제 가정에서 성장한 사람들은 배우자의 선택이나 결혼 생활에서 자신에게 해결되지 않은 욕구들을 충족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천사 같으면서도 섹시한 아내’, ’능력이 있으면서 내 모든 것을 사랑하는 남편’, 그리고 ‘내가 못 이룬 꿈을 대신해줄 자녀'가 대표적인 예다. 경우에 따라서는 부모에게서 받지 못한 (무조건적인) 인정과 칭찬을 배우자에게 기대하기도 한다. 이런 점들이 결혼 생활에서 충족되지 못할 때 혹은 반대로 받는 압박감이 지나칠 때, 그 실망이나 긴장을 외도 관계를 통해서 해소하려 할 수 있다.

▲ 사진 출처=픽사베이

당신은 이제 배우자의 외도에는 생각보다 많은 요소들이 개입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을 것이다. 때문에 외도 문제의 해결은 단순한 반성과 재발 방지 정도로는 결코 충분하지 않다.

“이런 문제들을 다 해결하다는 게 실제로 가능한 거냐?”고 되물을 사람도 있을 것이다. 맞는 말이다. 이는 외도 후 3/4정도의 부부가 좋은 관계로 회복하지 못한다는 점으로도 입증된다. 하지만 1/4정도의 부부는 적절한 노력을 통해서 개인의 삶과 결혼 생활 모두에서 전보다 나아진 변화를 체험한다. 외도 배우자를 원망하거나 자신의 불행을 슬퍼하고 자책하는 것만으로는 이런 발전을 얻지 못한다.

아직 당신은 결혼 생활을 개선할 것인지 아니면 외도 배우자와 헤어질 것인지 결심이 서지 않았을 것이다. 당신의 주변에는 "분명한 입방을 정하고 거기에 맞는 태도를 취하라"는 '조언 아닌 조언'을 해주는 사람들도 있을 줄 안다. 또 당신도 이런 혼란에서 하루 빨리 벗어나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당신의 삶에 너무나 중요한 결정이니만큼 결코 서두르지 말아야 한다.

최선의 방법은 (전문가와의 상담이나 당신에게 좋게 생각되는 또 다른 방법을 통해서) 당신이 후회하지 않을 선택을 할 수 있을 만큼 '스스로 현명해지겠다'는 결심을 하는 것이다. 이어지는 글에서 당신의 결정에 도움이 될 내용들을 소개하겠다.(다음편에 계속...)

▲ 박수룡 라온부부가족상담센터 원장

[박수룡 원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과 전문의 수료
미국 샌프란시스코 VAMC 부부가족 치료과정 연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겸임교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외래교수
현) 부부가족상담센터 라온 원장, 미디어파인 칼럼니스트

저작권자 © 미디어파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