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디어파인 칼럼=김권제의 생활어원 및 상식] 온통 세상을 하얗게 덮어 버리는 눈은 멀리서 바라보기에는 낭만적인 멋있는 풍경화를 연상하게 한다. 그렇지만 무릎 이상 빠지는 눈 위를 걷는 것은 조금은 두려움을 갖게 한다. 그 두려움을 날려 버리게 하는 도구나 활동이 바로 스키가 아닐까?
‘스키(ski)’는 두가지 의미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하나는, 스키는 하얀 눈 위를 걷거나 미끄럼을 타기 위해 얇은 판자나 글라스파이버 등으로 얇고 길게 만드는데 발을 고정할 수 있는 장치가 부착된 올라탈 수 있는 도구를 가르키는 말이다. 다른 하나는, 그 도구를 이용하여 다수가 누가 골인 지점에 먼저 들어오는가의 속도를 경쟁하거나 스키 점프 등 누가 멀리 뛸 수 있는가 등을 겨루는 스포츠”이다. 즉 이용하는 도구나 행위 모두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스키는 북유럽에서 기원 전부터 설상교통의 도구로서 사냥꾼이나 나뭇꾼들의 이동수단으로만 이용되다가 장비가 발달되면서 19세기 중엽부터 전 세계의 모든 사람이 즐기는 근대 스포츠이자 겨울 스포츠의 대표 종목으로 본격적인 발달을 했다.
동계 올림픽의 정식 종목인 스키 경기는 크게 2종류로 구분이 된다. 하나는, 1회 동계올림픽부터 채택이 된 장 거리와 점프 등을 경쟁하는 북 유럽에서 발달한 ‘노르딕 스키’이다. 다른 하나는, 제4회부터 채택이 된 활강과 회전 종목의 속도를 경쟁하는 알프스 등의 산악지대에서 발달한 ‘알파인’스키이다. 스키종목이 취약한 우리나라의 선수들이 그래도 선전을 하는 것이 영화 ‘국가대표’로도 알려진 노르딕 스키의 스키 점프와 알파인 스키의 회전경기이다.
![]() |
‘스키’의 어원에 대해서는 두가지 설이 있다.
첫번째 설은, 고대 스칸디나비아어 ‘skíð(눈신, 굵은 장작, 강철 조각)’에서 네덜란드어 ‘스키(ski : 얇은 판자)로 변형되었다는 설이다. 눈이 많이 왔을 때 신는 신발의 의미로 사용된 노르웨이 말 skilobor와 skid 및 skate에서 그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고 한다.
두번째 설은, 라틴어 ‘스킨데레(scindere : 쪼개다)’에서 ‘스키’가 왔다는 설이다. 단단한 나무를 쪼개서 스키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김권제 칼럼니스트]
고려대학교 영어교육학과 졸업
미디어파인 칼럼니스트
김권제 칼럼니스트 .